유니캐스트, 브로드캐스트, 멀티캐스트와 서브넷 마스크
1.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의 차이
유니캐스트(Unicast)
- 1:1 통신 방식으로, 한 송신자가 한 수신자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합니다.
- 예시: 웹서핑, 이메일 등 대부분의 인터넷 통신
- 장점: 신뢰성 있는 전송이 가능
- 단점: 여러 수신자에게 같은 데이터를 보내려면 각각 개별로 전송해야 하므로 네트워크 트래픽이 증가할 수 있음
멀티캐스트(Multicast)
- 1:N 통신 방식으로, 한 송신자가 여러 수신자에게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합니다.
- 예시: 라이브 스트리밍, 대규모 방송, 회의 시스템
- 장점: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
- 단점: 신뢰성은 유니캐스트보다 낮을 수 있음 (UDP 기반)
| 구분 | 유니캐스트 (Unicast) | 멀티캐스트 (Multicast) |
|---|---|---|
| 통신 형태 | 1:1 | 1:N (그룹 단위) |
| 데이터 전송 방식 | 수신자별 개별 전송 | 그룹에 한 번만 전송 |
| 네트워크 효율성 | 낮음 (중복 전송 발생) | 높음 (중복 전송 최소화) |
| 신뢰성 | TCP/신뢰성 있는 전송 가능 | UDP/신뢰성 미보장 |
| 사용 예 | 웹, 이메일, 일반 네트워크 통신 | 라이브 스트리밍, 회의 시스템, 대규모 방송 |
| 최대 수신자 수 | 20대 (특정 환경) | 256대 (UDP 제어 모드 기준) |
2. 멀티캐스트와 브로드캐스트의 IP 주소
멀티캐스트
- **클래스 D 주소 범위(224.0.0.0 ~ 239.255.255.255)**를 사용
-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하려면 IGMP(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)를 통해 라우터에 가입 요청(Membership Report)을 보냄
- 탈퇴 시에는 Leave Report를 보냄
- VLC 같은 프로그램은 멀티캐스트 그룹 가입/탈퇴를 자동으로 처리
브로드캐스트
- 네트워크 내 모든 호스트에 데이터를 전송
- 브로드캐스트 IP는 네트워크 주소에서 호스트 부분이 모두 1(예: 192.168.1.255)로 설정된 주소
- 그룹 개념 없음, 네트워크 전체가 대상
- 라우터를 넘지 못함, 동일 네트워크(서브넷) 내에서만 동작
| 구분 | 멀티캐스트 (Multicast) | 브로드캐스트 (Broadcast) |
|---|---|---|
| IP 주소 범위 | 클래스 D (224.0.0.0 ~ 239.255.255.255) | 네트워크 주소 + 호스트 부분 모두 1 (예: 192.168.1.255) |
| 그룹 지정 | IGMP 프로토콜로 그룹 가입 및 탈퇴 관리 | 그룹 없음, 네트워크 내 모든 호스트 대상 |
| 전송 범위 | 동일 및 다른 네트워크에 걸쳐 그룹 멤버에게 전송 | 동일 네트워크 내 모든 호스트에게 전송 |
| 수신 대상 |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한 호스트들 | 네트워크 내 모든 호스트 |
3. 클래스 D 주소와 CIDR 표기법
클래스 D 주소란?
- 멀티캐스트 통신에만 사용되는 IP 주소 범위
- 224.0.0.0 ~ 239.255.255.255
- 상위 4비트가 1110(이진수)
- 중학생 수준 설명:
- IP 주소는 4부분(옥텟)으로 나뉘고, 각 부분은 0~255까지 숫자
- 224~239는 첫 옥텟이 1110xxxx(이진수) 형태
- 그래서 클래스 D 주소 범위가 224.0.0.0부터 239.255.255.255까지임
CIDR 표기법(/xx)
- IP 주소 뒤에 붙여서 네트워크 부분의 비트 수를 표시
- 예시:
10.0.0.0/17→ 앞 17비트가 네트워크 주소 - 언제 사용하나?
- 네트워크 범위를 명확히 할 때
- 서브넷을 나눌 때
- 라우팅, 방화벽 설정 시
- 클래스 기반 주소 체계 대신 유연한 주소 지정이 필요할 때
4. 서브넷 마스크와 네트워크 주소
서브넷 마스크란?
-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는 역할
- /xx 표기법은 서브넷 마스크를 간단하게 표현한 것
예시
- /17 : 앞 17비트가 네트워크 주소
- 서브넷 마스크: 255.255.128.0
- 설명:
- 첫 2옥텟(16비트) + 3번째 옥텟의 첫 1비트까지 네트워크 주소
- 나머지는 호스트 주소
- /24 : 앞 24비트가 네트워크 주소
- 서브넷 마스크: 255.255.255.0
-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
- 한 네트워크 내에서 최대 256개(실제로는 254개) 호스트 사용 가능
| CIDR 표기법 | 서브넷 마스크 (십진수) | 네트워크 비트 수 | 호스트 수 (대략) |
|---|---|---|---|
| /17 | 255.255.128.0 | 17 | 32,768 |
| /24 | 255.255.255.0 | 24 | 256 (254 사용 가능) |
5. VLC로 브로드캐스트/멀티캐스트 스트림 수신 방법
브로드캐스트 수신
- VLC에서 “미디어 → 네트워크 스트림 열기” 선택
- 주소 예시:
udp://@192.168.1.255:포트 - 주의: 동일 네트워크 내에서만 가능, 라우터를 넘지 못함
멀티캐스트 수신
- VLC에서 “미디어 → 네트워크 스트림 열기” 선택
- 주소 예시:
udp://@239.1.1.1:포트 - 멀티캐스트 그룹 가입/탈퇴는 VLC가 자동으로 처리
- 네트워크 장비(스위치, 라우터)가 IGMP를 지원해야 함
6. 브로드캐스트 IP 주소 관련 오해
- IP 주소가 .255로 끝난다고 무조건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아님
- 서브넷 마스크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주소가 다름
- 예시: 10.0.0.255가 10.0.0.0/17 네트워크에서는 브로드캐스트 주소가 아님
- 255.255.255.255는 제한 브로드캐스트 주소로, 로컬 네트워크 내에서만 유효
- VLC에서 브로드캐스트 IP로 스트림을 수신하려면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다름
7. 요약
- 유니캐스트: 1:1 통신, 신뢰성 높음, 트래픽 증가 가능
- 멀티캐스트: 1:N 통신, 네트워크 효율성 높음, 클래스 D 주소 사용, IGMP로 그룹 관리
- 브로드캐스트: 네트워크 내 모든 호스트에 전송, 그룹 개념 없음, 라우터를 넘지 못함
- 서브넷 마스크(/xx): 네트워크와 호스트 부분을 명확히 구분, 네트워크 관리에 필수
- VLC: 브로드캐스트/멀티캐스트 스트림 수신 가능,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동작 다름
네트워크를 이해하고 구성할 때 위 개념을 잘 숙지하면 다양한 환경에서 효율적인 통신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. 특히,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이나 대규모 네트워크 관리 시 멀티캐스트와 서브넷 마스크 활용이 매우 중요합니다12.
⁂
